특수교육 및 특수학급 2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 및 운영 계획 특수교육의 중심축을 세우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진정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과 교육적 필요를 세밀하게 반영한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교사 한 명의 노력만으로는 그 모든 영역을 채우기 어렵다. 그래서 학교는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맞는 교육계획을 세우기 위해 ‘개별화교육지원팀(IEP 팀)’을 구성한다. 이 팀은 교사, 학부모, 전문가가 협력하여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함께 분석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교육목표를 세우는 ‘특수교육의 핵심 운영체계’다. 이 글에서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방법과 실제 운영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1️⃣ 개별화교육지원팀이란 무엇인가?개별화교육지원팀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20조에 근거한 조직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IEP)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해 구성..

특수교육의 진짜 의미, 그리고 교실 속에서 느낀 변화

특수교육은 단순히 장애를 가진 학생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제도를 뜻하지 않는다. 실제 교실 안에서 마주하는 특수교육은 ‘다름을 이해하는 사회로 가는 시작점’이다. 나는 교직 생활 중 특수학급을 자주 방문하며, 아이들이 만들어내는 작은 변화들을 가까이 서 봤다. 그 경험은 내가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을 완전히 바꿔놓았다.이 글에서는 ‘특수교육’이란 단어가 교과서 속 정의를 넘어, 실제 교실에서 어떤 의미로 살아 움직이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1️⃣ 특수교육의 핵심은 ‘개별화’가 아니라 ‘관계’다많은 교사들이 처음엔 개별화 교육계획(IEP)에 집중한다. 하지만 진짜 특수교육의 힘은 아이와 교사, 또래 사이의 관계에서 나온다. 나는 수업 중 친구들이 자연스럽게 도움을 주고받는 모습을 볼 때마다,..